한국 크리에이터가 도우인에서 한국 브랜드와 콜라보 연락하는 실전 가이드

도우인에서 한국 브랜드와 협업을 성사시키는 실전 전략: 타깃 찾기, 연락 루트, 로컬 에이전시 활용법, 계약 포인트와 리스크 관리까지 한 번에 정리.
@인플루언서 마케팅 @플랫폼 전략
저자 소개
MaTitie
MaTitie
성별: 남성
최고의 파트너: ChatGPT 4o
BaoLiba의 에디터 MaTitie는 인플루언서 마케팅VPN 기술에 대한 콘텐츠를 전문적으로 작성합니다.
그는 전 세계 브랜드와 인플루언서가 국경과 플랫폼의 제약 없이 협업할 수 있는 글로벌 크리에이터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을 꿈꿉니다.
항상 AI, SEO, VPN 기술을 학습하고 실험하며, 한국 크리에이터들이 세계 브랜드와 연결되고 글로벌 시장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사명으로 삼고 있습니다.

💡 왜 지금 도우인에서 한국 브랜드를 공략해야 하나

도우인(중국판 TikTok)은 영상 중심의 브랜딩과 바이럴이 아직도 강력한 플랫폼입니다. 한국 브랜드의 중국·글로벌 인지도 확장을 노리는 움직임이 계속되고 있고, 플랫폼 특성상 숏폼 콘텐츠로 빠르게 트래픽을 만들 수 있어요. 그런데 문제는 브랜드 측 연락 루트가 비표준적이고, 로컬 규정과 마케팅 에이전시 구조가 복잡해서 크리에이터 입장에선 ‘어디서부터 시작하지?’가 현실적인 질문이 됩니다.

현실적으로 크리에이터가 찾는 건 단순한 연락처가 아니라 ‘내 채널에 맞는 브랜드, 적정 보상(또는 제품 제공), 그리고 안전한 계약’이에요. 이 글은 현장의 관찰(로컬 에이전시 역할, 대표 사례), 뉴스(플랫폼 트렌드 참고), 그리고 실전 템플릿을 합쳐서 도우인에서 한국 브랜드와 실제로 콜라보를 성사시키는 순서도를 제공합니다. 초점은 한국 크리에이터(인디·마이크로 포함)가 직접 브랜드를 찾아 연락하고, 협업을 안전하게 운영하는 데 필요한 실무 팁들입니다.

이번 글에서 참조한 한국 에이전시 사례(Incross, DDB Korea, TRADINGWORKS, Chai Communication)는 한국 브랜드의 디지털·데이터 기반 채널 확장에서 실제로 활용되는 루트입니다. 이들을 이해하면 브랜드 담당자가 어떤 경로로 협업 제안을 받는지 예측 가능해집니다.

📊 데이터 스냅샷: 플랫폼별 브랜드 접근성 비교

🧩 Metric 인플루언서 직접 접촉 에이전시 중개 플랫폼 광고/매칭 툴
👥 Monthly Active 1.200.000 800.000 1.000.000
📈 매칭 속도 빠름 보통 빠름
💰 평균 정산(수수료 제외) ₩500.000 ₩350.000 ₩400.000
🔒 계약 안전성 낮음 높음 중간
🔁 재계약율 20% 45% 30%

이 표는 직접 접촉(인플루언서→브랜드), 에이전시 중개, 플랫폼 매칭 툴 3가지 옵션을 비교한 샘플입니다. 직접 접촉은 속도가 빠르지만 계약·정산의 불확실성이 크고, 에이전시 중개는 수수료가 들지만 재계약·안전성 면에서 우수합니다. 플랫폼 매칭 툴은 확장성이 좋지만 브랜드 맞춤성은 떨어질 수 있습니다. 결론: 상황별로 ‘속도 vs 안전 vs 확장성’의 우선순위를 정해 루트를 선택하세요.

😎 MaTitie 쇼타임

안녕, 난 MaTitie — 이 글 작성자이자 VPN 테스트 좀 하는 사람입니다.
플랫폼 접근이나 지역 제한 때문에 고생한 경험이 많은 편이라, 현실적인 해결책 하나 추천할게.

많은 한국 크리에이터가 해외 플랫폼(예: Douyin) 작업 중 지역 제한·접속 문제를 겪습니다. 개인 정보·속도·접속 안정성이 필요한 크리에이터에겐 검증된 VPN이 도움이 됩니다. 내가 추천하는 건 NordVPN — 속도, 서버 수, 스트리밍 안정성에서 계속 좋은 평가를 받아왔어요.

👉 🔐 NordVPN 체험하러 가기 — 30일 환불 보장.

이 링크는 제휴 링크입니다. 구매 시 MaTitie가 소정의 커미션을 받을 수 있어요.

(투명하게 말하면, 이런 소소한 수익이 콘텐츠 운영에 큰 도움이 됩니다. 고마워요.)

💡 실전 1: 브랜드 잠재 리스트 만들기 (리서치 + 우선순위)

  • 타깃 세그먼트 정의: 패션, 뷰티, F&B, 테크 등 당신 채널과 맞는 산업을 먼저 좁히세요.
  • 브랜드 소스: 인더스트리 리포트 대신 실제 집행 사례를 찾아라. Incross, DDB Korea, TRADINGWORKS 같은 에이전시가 유통하는 캠페인 포트폴리오에 주목하면 실무 예산·접촉 루트를 추정할 수 있습니다.
  • 채널 매칭: 도우인 내 브랜드 계정, 크로스포스팅(Weibo, Xiaohongshu) 여부, 제품 가격대, 글로벌 전략(중국 집중/글로벌 확장) 등으로 ABC 등급을 매겨 우선순위를 정하세요.

실무 팁: 유료 광고(플랫폼 DSP)를 활용하는 브랜드는 자체 데이터 역량이 있어서 직접 협업 가능성이 높습니다. Incross나 TRADINGWORKS처럼 데이터 기반 타게팅을 제공하는 파트너를 쓰는 브랜드는 콘텐츠 KPI(ROAS, 트래픽 유입)에 민감하니 성과 지표 제시가 필수입니다.

💡 실전 2: 첫 컨택(메시지 템플릿 + 채널)

우선 연락 채널 우선순위:
1) 브랜드 공식 PR/파트너십 이메일(찾기 쉬움)
2) 브랜드 국내 디지털 마케팅 담당자 LinkedIn / 회사 페이지
3) 한국 에이전시(Incross, DDB Korea, Chai Communication 등) — 에이전시를 통해 제안하면 브랜드 의사결정자에게 더 빠르게 전달됨
4) 플랫폼 내 다이렉트 메시지(긴급·비공식 제안 용)

초기 메시지 핵심 요소(짧게):
– 본인 소개(채널, 주요 성과 지표: MAU/조회수/타깃 인구통계)
– 제안 개요(아이디어 1문장 + 기대 효과)
– 콜투액션(15분 미팅 제안 or 샘플 제공 가능 안내)

템플릿(간단):
“안녕하세요, 도우인에서 활동하는 크리에이터 [이름]입니다. 20-30대 여성 타깃 패션 콘텐츠로 월 평균 영상 조회수 50만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브랜드명] X 콜라보로 간단한 룩북 + 15초 숏폼 시리즈 제안 드리고 싶습니다. KPI는 브랜드 인지도(브랜드 해시태그 노출)와 랜딩 트래픽 3,000회 목표입니다. 짧게 미팅 가능하실까요?”

💡 실전 3: 에이전시 활용 전략

  • 언제 에이전시를 쓸까: 브랜드가 글로벌 캠페인이나 데이터 타겟팅을 원할 때, 결제·정산·계약을 깔끔히 관리하고 싶을 때.
  • 어떤 에이전시를 고를까: Incross는 디스플레이 네트워크와 리타깃팅 기술(네이버, AfreecaTV 커버리지)을 보유해 캠페인 확장에 유리합니다. DDB Korea는 전통적 크리에이티브와 로컬라이징 역량이 강하고, TRADINGWORKS는 빅데이터 기반 세그멘테이션으로 정교한 타깃팅을 제공합니다. Chai Communication은 크리에이티브 생산과 마케툴 연동에 강점이 있습니다.
  • 협상 팁: 에이전시 수수료(예: 15~25%)와 정산 주기, 성과 보너스 구조를 명확히 하세요. KPI 미달 시 크리에이터에 유리한 안전 장치를 넣어두면 좋습니다(예: 최소 보장비).

💡 실전 4: 콘텐츠 기획과 KPI 제안 (브랜드 관점 맞추기)

브랜드는 보통 세 가지를 원합니다: 인지도, 전환, 데이터(타깃 노출). 제안서에 다음을 명확히 하세요.
– 캠페인 포맷: 15초 숏폼 3편 / 제품 언박싱 1편 / 브랜드 해시태그 챌린지 1건
– KPI: 영상 조회수, 해시태그 노출, 랜딩 클릭수, 전환(구매) 추적 가능성
– 리포팅: 캠페인 후 2주 내 데이터 리포트 제공(조회·노출·클릭·인게이지먼트)

현실 팁: 도우인에서의 ‘브랜드 해시태그 챌린지’는 높은 제작비가 필요하므로, 소규모 브랜드엔 룩북형·리뷰형이 현실적입니다.

🙋 자주 묻는 질문들

도우인에서 브랜드 담당자 찾는 법은?

💬 도우인 내 브랜드 계정과 브랜드 공식 사이트의 PR/파트너십 섹션을 먼저 확인하세요. LinkedIn에서 ‘Brand Partnerships’나 ‘Marketing’ 담당자를 찾는 것도 빠른 방법입니다. 필요하면 에이전시(Incross 등)를 통해 소개를 요청하세요.

🛠️ 계약서에 꼭 넣어야 할 항목은?

💬 금액·지급 스케줄, 콘텐츠 사용권 범위(기간·채널), 성과 KPI, 취소·환불 조건, 저작권 및 크레딧 표기 규정, 분쟁 해결 조항을 명확히 하세요.

🧠 중국 플랫폼(도우인) 특성상 고려할 리스크는?

💬 광고 규정과 표현 제한, 결제·정산 통화 리스크, 현지 광고 법규 준수 여부를 체크해야 합니다. 에이전시를 통한 법무 검토를 권장합니다.

🧩 최종 한 줄 요약

도우인에서 한국 브랜드와 콜라보를 성사시키려면 ‘타깃 정교화 → 연락루트(직접·에이전시·플랫폼) 선택 → 명확한 KPI 제안 → 안전한 계약’을 순서대로 진행하는 게 가장 현실적입니다. 에이전시(Incross, DDB Korea, TRADINGWORKS, Chai Communication)는 브랜드 접근성과 계약 안전성을 높이는 핵심 파트너가 될 수 있어요.

📚 Further Reading

여기 세 편은 이 주제와 관련해 더 읽을 만한 기사들입니다.

🔸 How to Market Watches in the Digital Era
🗞️ Source: vogue – 📅 2025-11-12
🔗 https://www.vogue.com/article/how-to-market-watches-in-the-digital-era

🔸 メルセデスはなぜ“ロゴだらけ”になったのか。
🗞️ Source: businessinsider_jp – 📅 2025-11-12
🔗 https://www.businessinsider.jp/article/2511-mercedes-benz-transformation/

🔸 DPR Minta Pemerintah Belajar dari Tiongkok Soal Influencer Wajib Punya Sertifikat
🗞️ Source: mediaindonesia – 📅 2025-11-12
🔗 https://mediaindonesia.com/politik-dan-hukum/829547/dpr-minta-pemerintah-belajar-dari-tiongkok-soal-influencer-wajib-punya-sertifikat

😅 A Quick Shameless Plug (Hope You Don’t Mind)

한국에서 활동 중인 크리에이터라면 BaoLiba에 등록해 보세요.
– 지역·카테고리별 순위 노출
– 브랜드 매칭 기회 제공
– 지금 가입하면 1개월 무료 홈페이지만 소개 프로모션 적용

문의: [email protected] (보통 24–48시간 응답)

📌 Disclaimer

이 글은 공개 자료(에이전시 포트폴리오, 업계 관찰, 뉴스풀)와 저자의 실전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법률·세무 등 전문 영역은 해당 전문가와 확인하세요.

위로 스크롤